영화리뷰18 유아인, 천재성을 입증한 완벽한 변신 – 영화 <승부> 리뷰 1: 닮지 않았던 두 사람 영화 에서 유아인은 바둑의 전설, 이창호 9단을 연기한다. 처음 캐스팅 소식이 전해졌을 때 사람들은 의아했다. 외모로 보나 이미지로 보나 유아인과 이창호 사이에는 공통점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영화가 시작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관객들은 놀라게 된다. 어느 순간부터 유아인이 화면 위에서 이창호로 완벽히 보이기 때문이다.2: 내면의 탐구, 완벽한 연기 유아인의 연기는 단순한 모방이 아니다. 그는 이창호 특유의 차분하고 내면으로 침잠된 성격을 절제된 표정과 깊이 있는 눈빛만으로 표현해낸다. 그의 작은 표정 변화, 조용히 흔들리는 눈동자 하나하나가 관객을 빨아들이며 몰입을 이끌어낸다. 그가 연기하는 이창호의 침묵에는 긴장감이 흐르고, 그가 바둑돌을 놓을 때마다 관객은 숨을.. 2025. 4. 10. 부산행 (연상호, 2016): 불편한 공포, 그리고 남겨진 희망 1. 열차가 출발하는 순간 이미 시작된 종말, 숨막히는 초반 전개 영화 [부산행]은 평범한 출근 풍경으로 시작되지만, 이내 버려진 도로 위에서 수상쩍은 사고가 벌어지면서 불길한 징후를 암시합니다. 주인공 석우(공유)와 어린 딸 수안(김수안)은 생일을 맞아 부산으로 떠나는 KTX에 오르지만, 열차 출발과 동시에 어긋난 재앙이 시작되죠. 누군가에게 물린 듯한 승객 한 명이 고통에 몸부림치다 순식간에 ‘좀비’로 변해 다른 승객들에게도 전염을 퍼뜨립니다. 좁고 폐쇄된 객실 안에서 눈 깜짝할 사이에 확산되는 감염 사태는 긴장감을 폭발적으로 끌어올리고, 관객은 열차와 함께 미지의 지옥으로 달려가는 기묘한 공포를 체감하게 됩니다. 연상호 감독은 이 과정에서 사운드와 카메라 움직임을 최소한으로 제어해, 오히려 .. 2025. 4. 9. 시 (2010, 이창동): 죽음과 상처를 품은 세상에 피어난 작고 고운 언어 1. 손녀와 자신을 지키기 위해, 시를 쓰기로 결심하다 영화 [시]는 시골 마을에서 손녀를 돌보며 근근이 생계를 이어가는 미자(윤정희)의 일상을 조명하며 시작됩니다. 그녀는 어느 날 취미 교실에서 ‘시 쓰기’ 강의를 접하고, 그때까지 잊고 지냈던 아름다움과 언어의 힘에 매료됩니다. 처음에는 나이가 들어서 헛된 꿈을 꾸는 것이 아닌가 망설이지만, 사람들과 달리 사소한 일상 속 순간을 곱씹고, 이를 시의 언어로 옮기는 과정에서 생의 새로운 활력을 얻습니다. 동시에 손녀가 연루된 학교폭력 사건이 불거져, 미자는 손녀와 자신을 지키기 위해 어떻게든 현실과 타협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가슴 한켠에 자리 잡은 불편함과 죄책감을 애써 외면하지 못하고, 오히려 시(詩)에 몰입함으로.. 2025. 4. 9. 버닝 (2018, 이창동): 청춘의 공허와 불안을 태우는 은유의 불길 1. 무라카미 하루키 단편에서 시작된 미스터리, 이창동식 재해석 영화 [버닝]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소설 「헛간을 태우다」에서 모티브를 얻어, 이창동 감독 특유의 깊고도 날카로운 시선으로 재탄생한 작품입니다. 원작이 지닌 신비로운 분위기와 ‘태우기’라는 상징적 행동을 바탕으로, 이창동은 한국적 현실을 담은 서사를 풀어냈습니다. 주인공 종수(유아인)가 오랜만에 만난 해미(전종서)와, 그녀의 친구이자 정체가 모호한 인물 벤(스티븐 연) 사이에서 느끼는 미묘한 긴장감은, 처음에는 하릴없이 흘러가는 듯 보이다가 이내 걷잡을 수 없는 의심과 불안으로 치닫습니다. 무라카미 원작에서는 ‘헛간을 태운다’는 상징이 인물들의 내면 공허를 암시했다면, [버닝]에서는 그 행위가 한국 청년들의 답답한 삶과 만나면서 더욱.. 2025. 4. 9. 밀정 (2016, 김지운): 일제강점기, 조국을 뒤흔든 스파이 게임 1. 비밀조직 의열단과 조선총독부 경찰, 이중 첩자의 운명 영화 [밀정]은 1920년대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항일운동의 중심에 선 비밀조직 의열단과 이들을 추적하는 조선총독부 경찰 간의 치열한 숨바꼭질을 그립니다. 중심 인물인 이정출(송강호)은 조선인이지만 총독부 경찰로 일하고 있으며, 의열단을 교란하기 위한 이중 첩자의 역할을 맡게 됩니다. 스스로도 정체성에 혼란을 겪는 이정출의 모습은, 일제 치하에서 살아가는 조선인의 복잡한 심정을 대변하듯 그려집니다. 한편, 의열단의 핵심 우의석(공유)은 중요한 폭탄 운송 임무를 수행하면서, 누가 진짜 동지인지 알 수 없는 상황 속에서도 독립운동을 완수하고자 하는 강인함을 잃지 않습니다. 영화는 이 두 캐릭터가 서로를 향해 끊임없이 의심과 신뢰를 교차시키는 .. 2025. 4. 8. 악마를 보았다 (2010, 김지운): 잔혹함을 넘어선 복수의 극단 1. 평범한 일상의 붕괴, 의도치 않은 마주침의 비극 영화 [악마를 보았다]는 가장 평범한 일상을 순식간에 무너뜨리는 참혹한 사건으로 시작합니다. 국정원 특수요원 수현(이병헌)의 약혼녀가 살인마 경철(최민식)에게 무참히 살해되면서, 그의 삶은 돌이킬 수 없는 복수극으로 치닫게 됩니다. 연쇄살인마의 잔혹한 범행 수법과, 결혼을 앞두고 행복하던 주인공이 빼앗기는 삶을 교차 편집함으로써, 영화는 초반부터 극단적인 충격과 애절함을 동시에 전합니다. 김지운 감독은 이 극단적인 설정을 통해 관객에게 “우리가 누리는 평범함이 얼마나 쉽게 깨질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집니다. 더불어 범죄자와 피해 유족의 대립을 넘어, 살인마와 복수자가 ‘본능적 폭력’을 공유하는 어두운 테마로 확장시키며, 사건 자체가 단순한 .. 2025. 4. 8.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