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f영화2

미키17 (2025, 봉준호): 우주에서 펼쳐진 또 다른 기생충? 1. 에드워드 애슈턴 원작, 독특한 SF 설정의 매력    영화 [미키17]은 에드워드 애슈턴의 소설 『Mickey7』을 원작으로 하는 작품으로, 봉준호 감독이 [옥자]와 [설국열차] 이후 다시 한 번 SF 장르에 도전했다는 점에서 큰 화제를 모았습니다. 원작은 복제인간 ‘미키’가 우주 탐사 과정에서 소모품처럼 취급되는 상황을 다루며,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집니다. 이러한 설정만 놓고 보면 단순 SF 어드벤처를 떠올리기 쉽지만, 봉준호 감독은 이미 장르 혼합과 깊이 있는 메시지 전달로 세계적 명성을 얻은 바 있기에, 이 작품에서도 특유의 블랙코미디와 사회풍자를 결합한 독자적 세계관을 선보입니다. 실제로 [설국열차]에서 계급 구조를 은유했고, [기생충]에서는 계층 갈등을 블랙코미디로 .. 2025. 3. 31.
설국열차 (2013, 봉준호): 차가운 디스토피아, 불타오르는 인간의 욕망 1. 멸망 후, 열차에 갇힌 인류의 생존 방식   지구가 기후 실험의 실패로 얼어붙은 뒤, 인류는 생존을 위해 쉼 없이 달리는 거대한 열차에 몸을 싣게 됩니다. 이 열차의 엔진은 마치 신처럼 영원히 멈추지 않는 존재로 그려지며, 승객들은 찬바람이 몰아치는 바깥세상에 발을 디딜 수 없기에 강제로 열차 내부에서의 삶을 이어가야 하죠. 실제로 기차라는 밀폐된 공간은 봉준호 감독 특유의 디스토피아적인 상상력을 극대화하는 무대가 됩니다. 관객은 눈 덮인 폐허와 운명의 레일 위를 달리는 이 거대한 쇳덩어리를 바라보며, 한없이 차갑고도 서늘한 세계관에 빠져듭니다. 영화는 서사를 풀어가면서 기차가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니라, 생존을 위해 만들어진 ‘하나의 사회’라는 점을 시사합니다. 빙하로 뒤덮인 지표에서 밀려난 사람.. 2025. 3.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