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인3

통쾌한 액션으로 보는 우리 사회, <베테랑> (2015) 압도적인 속도감과 액션 쾌감류승완 감독의 (2015)은 첫 장면부터 관객을 몰입하게 만드는 강렬한 액션으로 시작한다. 단순한 주먹다짐이나 추격전이 아니라, 적재적소에 배치된 액션 시퀀스들이 이야기의 긴장감을 끌어올리며 극의 몰입도를 극대화한다. 황정민이 연기한 서도철 형사의 캐릭터는 물리적 충돌뿐만 아니라 심리적 압박을 동시에 전달하며, 영화 전반에 걸쳐 긴장과 해소를 반복적으로 제공한다. 이 영화는 단순히 때리고 부수는 액션 영화가 아닌, 리듬감 있게 구성된 장면 전개와 캐릭터 간의 팽팽한 대립 구도가 조화를 이루며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배우들의 완벽한 연기 시너지의 또 하나의 강점은 배우들의 캐릭터 소화력이다. 황정민은 정의감 넘치는 형사로, 유아인은 냉소적이고 잔혹한 재벌 3세 조태오 역으로 분해 .. 2025. 4. 10.
유아인, 천재성을 입증한 완벽한 변신 – 영화 <승부> 리뷰 1: 닮지 않았던 두 사람  영화 에서 유아인은 바둑의 전설, 이창호 9단을 연기한다. 처음 캐스팅 소식이 전해졌을 때 사람들은 의아했다. 외모로 보나 이미지로 보나 유아인과 이창호 사이에는 공통점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영화가 시작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관객들은 놀라게 된다. 어느 순간부터 유아인이 화면 위에서 이창호로 완벽히 보이기 때문이다.2: 내면의 탐구, 완벽한 연기  유아인의 연기는 단순한 모방이 아니다. 그는 이창호 특유의 차분하고 내면으로 침잠된 성격을 절제된 표정과 깊이 있는 눈빛만으로 표현해낸다. 그의 작은 표정 변화, 조용히 흔들리는 눈동자 하나하나가 관객을 빨아들이며 몰입을 이끌어낸다. 그가 연기하는 이창호의 침묵에는 긴장감이 흐르고, 그가 바둑돌을 놓을 때마다 관객은 숨을.. 2025. 4. 10.
버닝 (2018, 이창동): 청춘의 공허와 불안을 태우는 은유의 불길 1. 무라카미 하루키 단편에서 시작된 미스터리, 이창동식 재해석    영화 [버닝]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소설 「헛간을 태우다」에서 모티브를 얻어, 이창동 감독 특유의 깊고도 날카로운 시선으로 재탄생한 작품입니다. 원작이 지닌 신비로운 분위기와 ‘태우기’라는 상징적 행동을 바탕으로, 이창동은 한국적 현실을 담은 서사를 풀어냈습니다. 주인공 종수(유아인)가 오랜만에 만난 해미(전종서)와, 그녀의 친구이자 정체가 모호한 인물 벤(스티븐 연) 사이에서 느끼는 미묘한 긴장감은, 처음에는 하릴없이 흘러가는 듯 보이다가 이내 걷잡을 수 없는 의심과 불안으로 치닫습니다. 무라카미 원작에서는 ‘헛간을 태운다’는 상징이 인물들의 내면 공허를 암시했다면, [버닝]에서는 그 행위가 한국 청년들의 답답한 삶과 만나면서 더욱.. 2025.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