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해일2 살인의 추억 (2003, 봉준호): 시대를 뒤흔든 미스터리, 잊지 못할 여운 1. 실제 사건에 뿌리내린 충격: 화성 연쇄 살인사건을 모티브로 영화 [살인의 추억]은 1980년대 후반 대한민국을 공포로 몰아넣었던 ‘화성 연쇄 살인사건’을 모티브로 하여 시작부터 강렬한 현실감을 선사합니다. 시골 논밭과 좁은 마을길이라는 한국적 풍경 한가운데서, 잇따른 여성 살인사건이 발생하면서 관객은 절로 긴장하게 되죠. 봉준호 감독은 실제 사건을 기반으로 한 만큼, 당시 경찰 수사의 문제점과 시대적 배경을 사실적으로 그려냅니다. 일반적인 수사물과 달리, 영화는 비장하게만 흐르지 않고 특유의 유머와 애매모호함을 교묘하게 섞어 넣어 관객을 더 깊이 빠져들게 만들죠. “단서가 될 만한 게 없다”는 무력감과 “어떻게든 범인을 잡아야 한다”는 절박함 사이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사건을 추적하는 인물들.. 2025. 3. 26. 괴물 (2006, 봉준호): 웃음 속에 숨겨진 냉혹한 사회 비판 1. 첫 등장부터 강렬한 한강 괴수의 임팩트 2006년, 한국 영화사에 한 획을 그은 작품이 등장했습니다. 바로 봉준호 감독의 [괴물]인데요. 영화가 시작되자마자 관객은 한강 변에 나타난 괴생명체의 압도적 위용에 압도됩니다. 익숙한 도시 풍경 한가운데에 등장한 그 거대한 괴물은 공포와 호기심을 동시에 자극하며, 기존 괴수 영화와 달리 가족 중심 서사를 전면에 내세우는 독특한 방식으로 전개됩니다. 첫 장면에서 가족들이 평온하게 일상을 누리다가, 갑작스럽게 괴물에게 딸을 빼앗기는 장면은 보는 이를 충격에 빠뜨리죠. 무엇보다 화면에 잡히는 한강과 주변 환경은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하기에, 이 비일상적인 상황이 더욱 실감나고 긴장감을 배가시킵니다. 이렇듯 [괴물]은 초반부부터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고, 고정관념을.. 2025. 3.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