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영화3 장화, 홍련 (2003, 김지운): 한국 호러영화의 우아한 공포 1. 고전 설화의 재해석, 장화홍련전에서 영감을 얻다 [장화, 홍련]은 김지운 감독이 우리 전통 설화 ‘장화홍련전’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으로, 개봉 당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원작이 가진 비극적인 가족 서사를 바탕으로, 영화는 새로운 캐릭터와 섬세한 감각을 덧입혀 더욱 신비롭고 서늘한 공포를 만들어 냅니다. 초자연적 요소나 귀신이 등장하는 전통적 호러 문법을 따르면서도, 내면 트라우마와 가족 간의 갈등을 심리적으로 풀어낸 점이 이 작품의 가장 큰 특징입니다. 김지운 감독은 불필요한 잔혹 장면 대신, 한옥 특유의 구조와 소품들을 활용해 관객이 무심코 지나칠 수 없는 긴장감을 조성합니다. 문이 살짝 열리고, 마루가 삐걱이며, 복도를 비추는 어둑한 조명이 등장인물들의 불안과 죄책감을 은밀히.. 2025. 4. 6. 나홍진: 강렬한 리얼리티로 빚어낸 한국 스릴러의 새 지평 1. 데뷔작 [추격자], 몰입감과 현실감의 충격 나홍진 감독은 [추격자](2008) 한 편으로 한국 스릴러 장르에 새바람을 일으켰습니다. 이 작품은 전직 형사였던 엄중호(김윤석)와 연쇄 살인마 지영민(하정우) 간 쫓고 쫓기는 추격전을 다루며, 당시 관객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형태의 극도로 현실적인 범죄 스릴러를 선보였습니다. 좁은 골목을 휘감는 카메라 움직임과 핏빛으로 물드는 처참한 장면들은 시선을 떼기 힘들 정도의 긴장감을 조성했고, “정말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을까?” 싶을 만큼 생생한 리얼리티를 통해 관객의 공포를 극대화했습니다. 더욱이 영화 속에서 드러나는 시스템의 무능과 부조리, 그리고 인물들이 보여주는 일말의 인간성은, 이 작품이 단순한 범죄 영화를 넘어 사회적 성찰까지 담아내고 있음을 시사.. 2025. 4. 5. 곡성 (2016, 나홍진):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가 무너진 순간 1. 복합 장르의 정수, 스릴러·공포·미스터리의 조합 영화 [곡성]은 한적한 시골 마을을 무대로, 실체를 알 수 없는 연쇄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시작됩니다. 경찰 종구(곽도원)는 처음엔 평범한 살인사건으로 간주하지만, 피해자들이 이상 행동을 보이다가 참혹한 죽음을 맞이한다는 사실에 주목하게 됩니다. 이 사건이 단순한 범죄가 아니라, 미스터리한 존재나 무언가 초자연적 힘과 연관되어 있다는 느낌이 짙어지면서 영화는 본격적인 공포와 스릴러의 색채를 띠기 시작합니다. 나홍진 감독은 특유의 날카로운 연출과 사실적인 묘사를 통해, 한편으론 수사물 같은 긴장감을 형성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론 오컬트적 요소를 서서히 드러내며 관객의 몰입도를 최고조로 끌어올립니다. 시골 마을 특유의 습하고 음울한 공기가 극 전.. 2025. 4. 3. 이전 1 다음